본문 바로가기
지원

금융감독원, 서민금융상품 사칭 광고 주의 당부

by 평안을 너에게 2023. 6. 22.

 

최근 상황

금융감독원은 최근 서민정책금융 지원기관이 운영하는 저금리 서민금융상품을 사칭하는 불법 광고가 증가하고 있다며 소비자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이에 따라 보이스피싱 피해구제 신청 건 가운데서도 대환대출(대출 갈아타기) 사칭으로 인한 피해 건수는 올해 들어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불법 광고 방식

이들은 홈페이지 등에 정책 서민금융지원기관인 서민금융진흥원과 유사한 상호를 노출시키거나 ‘정부지원 대출’ 등 표현으로 정부나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공식 사이트로 오인하도록 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근로자 금융지원 혜택’, ‘2023년 한시적 지원 안내’ 등을 기재해 취약계층의 대출 심리를 압박해 대출 희망자를 유인하고 개인정보 입력을 유도했습니다.

 

대응방법

금감원은 문자, 전화, SNS 등 출처가 불분명한 대출 권유는 불법업체일 가능성이 큰 만큼 가능한 대응하지 말고 필요한 경우 금융회사 창구를 직접 방문해 대출조건 등을 확인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또 저금리 전환이나 신용점수 상향 등에 필요하다며 개인신용정보를 요구하거나 대출 상담을 명목으로 금전을 요구하는 경우 상담을 즉시 중단해야 하고, 출처가 의심스러운 URL 접속이나 앱 파일 설치를 유도하는 경우에도 절대 클릭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대출받기 전 확인사항

대출받기 전에는 정부나 공공기관 공식사이트 주소인지 확인이 필요하며, 서민금융진흥원의 경우 ‘사칭문자 진위확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금융회사 콜센터나 금융감독원 콜센터(1332)에 전화해 해당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곧바로 피해구제를 신청해야 합니다.

 

2023.06.22 - [지원] - 소액생계비와 청년도약계좌 미소금융 창업 지원금

 

소액생계비와 청년도약계좌 미소금융 창업 지원금

서민금융진흥원에서는 청년, 저소득층 등의 금융지원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때, 가장 인기 있는 상품 중 하나가 바로 '소액생계비'입니다. 이 글에서는 소액생계비뿐만

hoho1004.com

 

2023.06.20 - [지원] -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 무엇이 좋을까?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 무엇이 좋을까?

청년들의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에서는 청년들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는 대표적인 상품으로, 많은 청년들이 이용하고 있

hoho1004.com

 

2023.06.14 - [지원] - 2023 부모급여, 아동수당 총정리

 

2023 부모급여, 아동수당 총정리

부모 급여와 아동수당은 대한민국 정부에서 가정의 양육비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입니다. 이러한 제도는 국가의 저출산 대책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2023년도에는 부모 급여와 아동수당에 대

hoho1004.com

 

2023.06.20 - [지원] - 청년도약계좌 출시

 

청년도약계좌 출시

청년도약계좌, 출시 3일 만에 21만명 가입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가 출시 사흘 만에 누적 가입자 21만명을 돌파했다.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정부가 청년층의 자산증식을 돕기 위해 마련한

hoho1004.com

2023.06.15 - [지원] -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신청서류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신청서류

청년도약계좌의 의미와 특징 청년도약계좌는 최근 많은 청년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정부 지원 계좌입니다. 금융당국이 청년층의 저축 의욕을 끌어올리기 위해 만든 이 계좌는 34세 이하

hoho1004.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