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방안
한국은 여전히 집값이 높아,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대중교통이 편리하거나 직주근접이 가능한 부지에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되는 '행복주택'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행복주택'에 대해 소개하고,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신청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행복주택'이란?
'행복주택'은 대중교통이 편리하거나 직주근접이 가능한 부지에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되는 주택입니다. 이 주택은 만19~39세 청년,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대학생 등 젊은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제공됩니다. '행복주택'은 2007년부터 시행된 대한민국 정부의 주거정책 중 하나로, 지방자치단체가 대중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부지를 확보해, 공공임대주택으로 건설한 것입니다. 이러한 '행복주택'은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좋은 대안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청년들의 주거안정이 중요한 이유
청년들이 주거안정을 갖는 것은 그들의 미래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안정적인 주거를 가지고 있으면 취업 기회를 놓치지 않고, 더 나은 교육과 경제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집값은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어, 청년들은 자신의 주거안정을 확보하기 위해 큰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따라서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최근들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 '행복주택'의 공급이 더욱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좋은 대안으로서, 사회 전반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
다음과 같은 대상은 '행복주택' 지원 대상입니다.
대학생, 청년,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고령자
주거급여수급자
산업단지 근로자
'행복주택'은 주거안정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대상들에게 지원을 제공합니다. 특히 청년들을 포함한 젊은층이 '행복주택'의 지원 대상이 되며, 이들에게는 좀 더 형평성 있는 주거환경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행복주택 모집공고
선정 기준
'행복주택' 신청에는 일정한 선정 기준이 있습니다. 이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소득 | 자산 |
대학생 | 본인과 부모의 월평균 소득을 합해 전년도 가구당 소득의 100%이하 |
본인의 총 자산이 7,200만원 이하 본인 소유의 자동차가 없어야 함 |
청년 | 본인의 세대 월평균 소득이 가구당월평균 소득의 100%이하 | 본인이 속한 세대의 총 자산이 2억5,400만원이하 자동차시세가 2,497만원 이하 |
신혼부부 | 본인의 세대 월평균 소득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이하 |
본인이 속한 세대의 총 자산이 2억9,200만원이하 자동차 시세가 2,497만원 이하 |
한부모가정 | 본인의 세대 월평균 소득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이하 |
본인이 속한 세대의 총 자산이 2억9,200만원이하 자동차 시세가 2,497만원 이하 |
청년
1. 미혼인 무주택자로서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19~39세 이하인 사람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중인 사람 또는 퇴직 후 1년이 지나지 않는 사람 중 구직급여 수급자격을 인정 받은 사람(단, 소득이 있는 업무종사기간이 총5년을 초과하는 사람은 제외)
예술인(단, 소득이 있는 업무종사기간이 총5년을 초과하는 사람은 제외)
2. (소득) 세대 소득이 평균 소득의 100% 이하(세대원주가 아닌 세대원일 경우에는 본인 월평균소득이 평균소득 100%이하, 단1인가구:120%, 2인가구:110%이하로 적용)
3. (자산) 본인(본인이 세대주인 경우 세대내) 총자산 2.99억원, 자동차 0.3683억원
(예비)신혼부부, 한부모 가족
1. (신혼부부) 무주택 세대구성원으로서 혼인기간 7년이내 또는 6세이하 자녀를 둔 사람
2. (예비 신혼부부) 혼인을 계획중이며, 혼인으로 구성될 세대의 구성원 모두 무주택자인 사람
3. (한부모가족) 6세이하(태아포함)의 자녀를 둔 무주택세대구성원
4. (소득)세대소득이 평균소득의 100% 이하(1인가구:120%, 2인가구:110%, 2인가구 맞벌이부부:130%, 3인이상가구 맞벌이부부:120%이하)
5. (자산)세대내 총자산 3.61억원, 자동차 0.3683억원
주거급여 수급자
1.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거급여수급 대상자인 사람
2. (소득)세대소득이 중위소득의 46% 이하
3. (자산)소득인정액 평가 시 반영
고령자
1.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인 사람
2. (소득)세대소득이 평균소득의 100% 이하(1인가구:120%, 2인가구:110%이하)
3. (자산)세대내 총자산 3.61억원, 자동차 0.3683억원
산업단지 근로자
1.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인근(연접지역 포함) 산업단지의 입주기업 등에 재직중인 사람
2.(소득)세대소득이 평균소득의 100% 이하
(1인가구:120%, 2인가구:110%, 2인가구 맞벌이부부:130%, 3인이상가구 맞벌이부부:120%이하)
3. (자산)세대내 총자산 3.61억원, 자동차 0.683억원
'행복주택'의 지원 대상은 위와 같이 다양한 조건을 충족하는 대상들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조건들은 섬세하게 설정되어 있어, 좀 더 형평성 있는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원 내용
'행복주택'은 시중 시세의 60~80% 수준으로 공공임대주택공급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분양가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주거할 수 있어,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대안으로 좋은 선택입니다. 또한 '행복주택'은 다양한 지원 내용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임대료 지원, 관리비 지원, 전세자금 대출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지원 내용은 청년들이 안정적인 주거환경에서 더 나은 미래를 꿈꾸고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신청 방법
'행복주택'은 접수기관 별로 상이한 신청 기간에 접수할 수 있으며, 방문 및 인터넷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은 접수기관 별로 상이하니, 반드시 해당 기관의 안내를 확인해야 합니다.
행복주택의 장단점
장점:
저렴한 임대료: 행복주택은 저렴한 임대료로 주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다양한 주거 안정 지원: 행복주택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주거 안정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택 유지를 위한 지원이나 보조금 등이 있습니다.
단점:
자격 조건 필요: 행복주택을 신청하려면 특정 자격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자격이 갖추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행복주택을 이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의 복잡성: 행복주택을 신청하려면 신청 방법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합니다.
올바른 신청 방법을 알지 못하면 주거 안정을 위한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행복주택은 우리나라에서 중저소득층을 위해 마련된 주택으로, 저렴한 임대료와 다양한 주거 지원으로 많은 국민들이 안정적인 주거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과 단점을 고려하여 행복주택을 올바르게 이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행복주택'은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좋은 대안입니다. 이러한 '행복주택'이 더욱 많이 공급되고, 청년들이 안정적인 주거 환경에서 더 나은 미래를 꿈꾸고 실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또한 '행복주택'이 다양한 대상들에게 보다 형평성 있는 지원을 제공하도록 노력한다면, 한국의 청년들은 더욱 안정적인 주거환경에서 더 나은 미래를 꿈꾸고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2023.09.14 - [집 대출] - 장기전세 주택공급 신청 방법과 지원내용
2023.09.14 - [집 대출] - 영구임대주택 신청자격 신청방법
2023.09.13 - [생계자금] - 주거안정 월세대출 자격 심사, 신청 방법, 대출 금리
2023.09.07 - [집 대출] - 전세권 설정등기의 장단점
2023.08.30 - [집 대출] - 기업은행의 안심 전세대출 상품
|
|
|
|
|
|
|
|
|
|
|
|
|
|
|
|
|
|
'집 대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양전환 공공임대 및 공공분양 주택공급 (1) | 2023.09.21 |
---|---|
국민임대주택 입주자격 신청방법 (0) | 2023.09.16 |
디딤돌 대출 (2023 최신) (0) | 2023.09.16 |
영구임대주택 신청자격 신청방법 (1) | 2023.09.14 |
디딤돌 대출 대출조건 신청방법 (2023최신) (0) | 2023.09.14 |
댓글